-
목차
MBTI에 따른 그림책 추천 MBTI별 그림책 추천: 성향에 맞는 이야기 속으로
그림책은 단순히 아이들을 위한 장르가 아니라, 모든 연령층이 공감하고 위로받을 수 있는 문학입니다.
MBTI 성격 유형을 고려하여 그림책을 선택하면 독자들은 더욱 깊이 있는 감정을 느끼고 몰입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MBTI의 네 가지 주요 성향(외향형(E)-내향형(I), 감각형(S)-직관형(N), 사고형(T)-감정형(F), 판단형(J)-인식형(P))을 중심으로 각 유형별로 어울리는 그림책을 소개하고자 합니다.1. 외향형(E) vs 내향형(I): 관계와 몰입의 차이
외향형(E): 사람과의 교류를 즐기는 유형
외향적인 사람들은 활기차고 상호작용이 많은 이야기를 선호합니다.
다채로운 캐릭터들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찾으며, 이야기의 전개가 빠르고 다이내믹한 작품에 흥미를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 추천 그림책
• “아름다운 실수” (코리 도어펠드)는
실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과
따뜻한 교훈을 전달하는 이야기이다.
• “곰과 나” (카트린 아브)는 우정과 이해를 통해 성
장하는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외향적인 독자들에
게 친근하게 다가갈 것이다.
내향형(I): 조용한 몰입을 즐기는 유형
내향적인 사람들은 깊이 있는 감정을 다루는 그림책을 좋아하며, 서정적이고 사색적인 작품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추천 그림책
• “나는 강물처럼 말해요” (조던 스콧)는
내향적인 사람들이 자신의 방식으로 세상을 표현
하는 이야기가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 “창가의 토토” (구로야나기 테츠코)는 한 소녀가
특별한 학교에서 겪는 성장 이야기가 조용한 감동
을 준다.2. 감각형(S) vs 직관형(N): 현실과 상상의 차이
감각형(S):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이야기를 선호하는 유형
감각형은 논리적으로 정리된 이야기와 사실적인 서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구체적인 경험과 현실적인 주제를 다룬 그림책이 감각형 독자들에게 적합합니다.
• 추천 그림책
• “행복한 페르디난드” (먼로 리프)는 현실 속에서
행복을 찾는 소의 이야기가 감각형 독자들에게 큰
울림을 줄 것이다.
• “안녕, 내 이름은 줄리아입니다.” (바바라 바스코
비치)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성장 스토리가
감각형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직관형(N): 상상력과 창의적인 이야기를 즐기는 유형
직관형은 상징적이거나 철학적인 내용을 담은 그림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추상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품이 어울립니다.
• 추천 그림책
• “어둠을 만났어” (라모나 바데스쿠)는
직관형 독자들이 좋아할 만한
신비로운 분위기의 이야기이다.
• “나무는 좋다” (로렌스 프레리)는
자연에 대한 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어
직관적인 사고를 자극할 수 있다.3. 사고형(T) vs 감정형(F): 논리와 감성의 차이
사고형(T):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중시하는 유형
사고형 독자들은 감성적인 요소보다는 합리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책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추천 그림책
• “별을 쫓는 아이” (올리버 제퍼스)는
논리적으로 전개되는 과학적 탐구 과정이
포함된 이야기이다.
• “이상한 화요일” (데이비드 위즈너)는
원인을 분석하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을
그린 책이다.
감정형(F): 감성적이고 따뜻한 이야기에 공감하는 유형
감정형은 공감과 따뜻한 감동을 주는 이야기를 좋아하며, 인물 간의 감정 변화가 두드러진 그림책을 선호합니다.
• 추천 그림책
• “너는 기적이야” (크리스티나 벤츠)는 감성을
어루만지는 따뜻한 메시지가 담긴 그림책이다.
• “달 샤베트” (이지은)는 감성적인 분위기와
감동적인 스토리가 감정형 독자들에게
큰 감동을 줄 것이다.4. 판단형(J) vs 인식형(P): 계획과 유연성의 차이
판단형(J): 구조화된 이야기와 명확한 교훈을 선호하는 유형
판단형은 이야기의 기승전결이 뚜렷하고,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그림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추천 그림책
•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김소희)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이야기가
판단형 독자들에게 안정감을 줄 것이다.
• “세상에서 가장 멋진 곳” (데이비드 로버츠)는
명확한 교훈과 질서 있는 이야기 구조를
선호하는 판단형 독자들에게 적합하다.
인식형(P): 자유롭고 개방적인 이야기를 선호하는 유형
인식형은 즉흥적이고 열린 결말을 가진 이야기를 좋아하며,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그림책을 즐긴다.
• 추천 그림책
• “검은 새” (천미진)는 열린 결말과
다층적인 해석이 가능한 그림책이다.
• “나랑 친구 할래?” (에릭 바튀)는
자유로운 상상력과 즉흥적인 스토리가
인식형 독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갈 것이다.마무리: MBTI를 넘어, 나에게 맞는 그림책 찾기
MBTI는 독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하나의 도구일 뿐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성격 유형을 알고 그림책을 선택하면 더 깊이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익숙한 유형을 벗어나 새로운 스타일의 책을 탐험하는 것도 흥미로운 독서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림책은 단순한 이야기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우리의 감성과 사고를 확장시키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MBTI를 활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그림책을 발견하고,
새로운 시각과 감정을 경험해 보길 바랍니다.'그림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책 속 과학이야기 (0) 2025.02.06 다양한 언어로 번역된 그림책:다문화 교육의 도구 (0) 2025.02.05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습관 형성 (0) 2025.02.05 유아 교육에서 그림책의 중요성 (0) 2025.02.05 그림책을 활용한 심리치료 사례 (0) 2025.02.04 그림책 읽기가 부모와 자녀 관계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 (0) 2025.02.03 어른들을 위한 치유 그림책의 매력 (0) 2025.02.03 불안한 아이를 위한 힐링 그림책 추천 (0) 2025.02.03